• HOME
  • 커뮤니티
  • 학과별게시판
  • 동영상갤러리
인쇄하기

동영상 갤러리

제목 반궁수에 대한 내수의 사례 인량리로 가다 작성일 2019-06-20 조회수 752
반궁수(反弓水)에 대한 내수(內水)의 사례 인량리로 가다Going to Inryang-ri as a case of naesu(內水) of bangungsu(反弓水)* Bangungsu : water flowing in a reversed shape(a bulging shape) of a bowPROFESSOR ZHO, PROFESSIONAL GEOMANCER PARK1.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Inryang-ri, Changsu-myeon,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2. 16세기 5개의 성씨가 입향하여 터를 잡은 여러 성씨의 집성촌- Several village claniques where five clans entered the country and took up their sites in the 16th century. 3. ‘인량(仁良)’은 인자한 현인(賢人)들이 많이 사는 동네라는 의미- ‘Innyang(仁良)’ means a village where many benevolent sages live. 4. 인량1리와 인량2리로 나누어짐- It is divided into Innyang 1-ri and Innyang 2-ri. 5. 옥녀봉에서 발원한 내수(內水)에 의해서 1리와 2리로 구분됨- Thet are divided by naesu(內水) originating from oknyubong. 6. 한편, 송천(松川)이 우입좌출(右入左出, 오른쪽으로 와서 왼쪽으로 흘러가는) 상황- Meanwhile, Songcheon(松川) is in a situation of wuipjwachul(右入左出, coming to the right and flowing to the left. 7. 인량리의 입장에서 볼 때. 송천은 반궁수(反弓水, 활을 쏘는 모양의 물줄기)의 형태- From Inryang-ri, Songcheon has a form of bangungsu(反弓水, water flowing in a reversed shape of a bow). 7-1. 내수가 남북방향으로 흐르면서 반궁수인 송천에 대항하는 상황- Naesu(內水) flow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is against Songcheon which is bangungsu(反弓水). 8. 인량리의 집들은 내수와 송천이 하나로 합수(合水)하는 지점을 향해 배치되는 경향- Houses in Inryang-ri tend to be positioned to the point where internal water and Songcheon merge into one. 9. 옥녀봉(玉女峰,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을 상징하는 산봉우리)에서 발원한 내수(內水)가 반궁수의 살기를 완화시키는 역할- Naesu(內水), which originated from oknyubong(玉女峰, the peak symbolizing the most beautiful woman on earth), plays the role of easing the a violent energy of bangungsu(反弓水). 10. 삼벽당(三碧堂, 3가지의 푸른 색의 집) 종택(宗宅, 종가집)- Sambyeokdang(三碧堂, a house with three blue colors) jongtaek(宗宅, head house)- 조선시대 학자 농암 이현보 선생의 넷째아들인 이중량 선생의 고택- This is the old house of Yi Jung-ryang, the fourth son of Nongam Lee Hyeon-bo who was a scholar in Joseon Dynasty. 11. 삼벽당의 뒤에 큰 산줄기가 연결되어 있음- A large mountain range is connected to the back of Sambyeokdang. 12. 집이 바라보는 조안산(朝案山, 멀고 가까운 앞의 산)은 사회적인 지위를 나타냄- Mt. Joan(朝案山, far, near, and fore mountain) that the house faces represents a social status. 13.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1리 용암종택(龍巖宗宅, 용과 바위를 상징하는 종가집)- Yongam jongtaek(龍巖宗宅, a head house representing dragons and rocks) in Inryang 1-ri, Changsu-myeon,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14. 용암종택의 대문은 평대문(平大門, 지붕이 평평함)- Its main gate has pyeongdamoon(平大門, a flat roof). 15. 내외담을 설치하는 목적은?- What is the purpose of setting up a inner wall(內外墻)? 16. 첫째, 불견처리를 위함- First, it is for the sake of blocking seeing. 17. 둘째, 바람 또는 살기의 유입을 방어 조절하기 위함- Second, it is to defend and control the inflow of wind or a murderous spirit. 18. 용암종택의 조안산(朝案山, 멀고 가까운 앞 산)은 토성체(土星體, 산봉우리가 평평함)의 형태를 띠고 있음- Mt. Joan(朝案山, far, near, and fore mountain) of Yongam jongtaek takes the form of toseongche(土星體, a flat peak). 19. 산을 의지하는 집, 삼벽당은 인물- It depends on mountains and Sambyeokdang stands for figures. - 물을 가까이 하는 집, 용암종택은 재물의 행운- Yongam jongtaek is close to water and represents fortune. 20. 인량2리 영덕 충효당(忠孝堂,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 효도함)- Yeongdeok Chunghyodang(忠孝堂, loyalty to the country and filial piety to their parents) in Inryang 2-ri. 21. 충효당의 사당(祠堂, 조상신을 모시는 곳)- The shrine(祠堂, a place where ancestral god is worshiped) at Chunghyodang 22. 현무정(玄武頂: 집 뒤의 산)-Hyunmoojeong(玄武頂: a mountain behind the house)- 사당으로 내려온 지맥이 안채와 사랑채로 양분하여 흘러들어가는 모습을 보여줌- Jimaek(地脈, a line of energy circulating in the ground) that comes down to the shrine is divided into two and each flows to anchae and sarnagchae. 23. 안채는 인재가 탄생하는 공간, 사랑채는 인재를 양성하는 공간- Anchae is the space where talented persons has been born, and Sarnagchae is the space where they are trained. 24. 입향조는 이애(李?)선생이며 경남 함안에서 오심- The ancestor who first settled here was Yiae(李?) and he came from Haman, South Gyeongsang Province. 25. 입향조의 손자 운악(雲嶽) 이함(李函)에 의하여- By Unak(雲嶽) Lee Ham(李函), his grandson. 26. 현재의 터로 상향이전(上向移轉)하여 자리잡음- it was moved upward and situated on the present site. 27. 터를 옮긴 이유는 풍수를 고려한 것임. 재물보다는 인재를 원하였기 때문- The relocation was conducted by consideration of the feng shui, because talented persons rather than wealth were wanted. 28. 터를 옮긴 이후로 당대발복(當代發福, 빠른시일 내에 복이 일어남)으로 운악선생이 과거(科擧, 국가고시)에서 장원급제를 하게 됨- Right after relocation, dangdabalbok(當代發福, to be blessed quickly) happend and Unhak won the first place in gwageo(科擧, a national examination). 29. 문필성(文筆星, 붓모양의 산봉우리) 좌우로 좌보성(左輔星, 좌측의 봉우리), 우필성(右弼星, 우측의 봉우리)이 함께 보임- Jwaboseong(左輔星, the left side peak) and wupilseong(右弼星, the right side peak are seen together at to the left and right of munpilseong(文筆星, brush-shaped mountain peaks). 30. 우계종택(愚溪宗宅, 겸손의 의미로 어리석은 시냇물을 상징하는 종가댁)- Wugye jongtaek(愚溪宗宅, a head house comparing humility to foolish stream) 31. 우계종택의 마루는 정면 두 칸, 면적으로는 4칸으로 되어 있음- Woogye jongtaek' floor consists of two kan in front and four kan in rear.- * kan : a unit of an enclosed space within the limit, approximately 2.4m*2.4m. 32. 집을 통해서 그곳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음- By looking at the house, we can understand the minds of the people living in it. 33. 우계종택은 인량리에서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집- Wugye jongtaek is the house whose original forms have been preserved best at Inryang-ri. 34. 집 앞 우계선생의 정자(亭子)는 경사진 지형의 균형을 잡아줌- The pavilion in front of it controls the balance of the sloping terrain. 35. 건축적 배려 : 대문과의 동선(動線)을 곡선유형으로 하여 좋은 기가 유입되도록 함.- Architectural considerations : the curved flow of human traffic to a main gate allows good energy to come in. 36. 안동권씨 오봉(五峯, 5개의 봉우리) 권 책(權策)의 고택인 오봉종택- Obong jongaek is the old house of Obong(五峯, five peaks) Kwon Chaek(權策) in the Andong Kweons. 37. 오봉헌(五峯軒, 5개의 봉우리가 보이는 집)- Ohbongheon(五峯軒, a house with five peaks visible). 38. 벽산정(碧山亭, 푸른 산의 정자)- Byeoksanjung(碧山亭, a pavilion on green mountain). 39. 오봉종택에서 사당을 중시하고 있음- The shrine is valued in Obong jongaek. 40. 인량리 전체의 풍수적 특징- Feng shui characteristics of Inryang-ri as a whole. 41. 첫째, 옥녀봉에서 발원하여 남북으로 흐르는 내수를 가운데 두고 있음.- First, naesu(內水), which originates from oknyu-bong and flows to the north and south, is in the middle. 42. 둘째, 청룡(靑龍, 좌측의 산줄기)과 백호(白虎, 우측의 산줄기)에 기대어 1리와 2리의 집들이 자리함-Second, the houses in Inryang 1-ri and 2-ri are located along cheongyong(靑龍, a left mountain rang) and baekho(白虎, a right mountain range). 43. 셋째, 인량리의 집들은 내수(內水, 마을 안쪽의 물줄기)와 외수(外水, 마을 외부로 흐르는 물줄기)가 하나로 합수(合水)하는 지점을 향해 지어짐- Third, the houses in Inryang-ri head for the point where naesu(內水, a water stream inside it) and woisu(外水, a stream of water flowing out of the villag) come together. 44. 넷째, 소명당(小明堂, 마을 안쪽의 작은 들판), 중명당(中明堂, 마을과 외부사이의 중간 지점에 중규모의 들판), 대명당(大明堂, 마을 외부의 큰 규모의 들판)을 갖추고 있으며 현인을 많이 배출한 곳- Fourth, it has somyeongdang((小明堂, a small field inside the village), jungmyeongdang(中明堂, a medium-sized field at the middle between the village and the outside), and daemyungdang(大明堂, a large field outside the village). Many sages have come out here. 45. 다섯째, 좌보성(左輔星, 좌측의 보조적 산봉우리)과 우필성(右弼星, 우측의 보조적 산봉우리)을 거느린 문필봉(文筆峰, 붓모양의 산봉우리)의 조안산(朝案山, 가깝고 먼 앞의 산)- Fifth, Mt. Joan(朝案山, a far, near, and fore mountain) is a shape of munpil-bong(文筆峰, a brush-shaped mountain peak) which has Jwaboseong(左輔星, auxiliary peak on the left and woopilseong(右弼星, auxiliary peak on right). 46. 여섯째, 크게 볼 때는 장풍득수국(藏風得水局, 산줄기가 둘러싸고 물도 가까이에 있는 환경)의 형식을 띠고 있으나,- Sixth, on the whole it takes the form of janpungdeuksukuk(藏風得水局, an environment surrounded by mountain streams and close to water). 47. 인량 1리와 2리를 나누어 볼 때는 득수국(得水局, 물을 가까이하는 환경)의 형식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음. but when viewed by distinguishing 1-ri and 2-ri, it is regarded to take the form of deuksukuk(得水局, an environment close to water).촬영 : WDU편집 : KAN MEDIA번역 : Lee Eun-jung



WDU조인철 교수와 함께 떠나는 풍수여행
반궁수에 대한 내수의 사례 인량리로 가다

  • 트위터
  • 블로그
  • 유투브
주소복사
목록
이전글 장사축와형학역재 정인지의 묘소 2019-06-20
다음글 암공수의 사례 괴시리마을로 가다 201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