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커뮤니티
  • 학과별게시판
  • 동영상갤러리
인쇄하기

동영상 갤러리

제목 봉정사 작성일 2019-01-29 조회수 447
봉정사 the Korean Buddhist temple Bongjeongsa[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the Department of Oriental Science, WDU] 일반적인 주택을 보는 것과 사찰을 보는 것의 시각은 공통된 것도 있고 전혀 다르게 봐야할 부분도 있어요. When looking at a typical house and looking at a temple, you should see similarities between them and in a totally different way.첫 번째 경계선에서 만나는 게 불교사찰임을 뜻하는 일주문이죠. The first boundary line is "Iljumun(one pillar gate)" which stands for the Buddhist temple. 저기서부터는 종교영역, 성스러운 영역이니까 지금부터 마음가짐을 단정히 가지라는 거죠. As you enter a religious and sacred area from there, you should have your new state of mind. 그 이전에 여기 개울이 하나 있죠. 물이 지나가죠. Here's a stream before it. The water goes by. 뭐냐하면 일주문이 세워지기 이전부터 이 물길로 인해서 이 세계와 저 세계는 구분됩니다. This means that even before Iljumun was built, the waterway had distinguished this world from the other. 다리를 건너면서 전혀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거예요. You cross the bridge and enter a totally different world. 좌우측에서 산줄기가 있으니까 양쪽으로 물이 빠져나오겠죠. 옆구리 쪽으로. There are mountain streams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water will come out on both sides. To the side. 물이 빠져 나오는데 저기서 합수했다는 것은 그 가운데 땅이 갇혀 있는 거죠. And as water from both sides gets together there, the ground is trapped in the middle. Water from both sides merges. 갇혀있으니 좌청룡, 우백호로 이 가운데에 혈 자리가 하나 있을 수 있다고 보는 거죠. So we can assume that there may be an acupuncture point in the middle of the left blue Dragon and the right white Tiger. 여기서 일주문으로 기운이 너무 쉽게 빠져나가는 형식이다. The energy is escaping through Iljumun too easily here. 그래서 (그것을 저지하는) 일종의 돌담이 (있어야 한다.) So we must have a stone wall (blocking it) built. 양쪽 겨드랑이에서 나온 물이 합쳐져 나간다. The water from both armpits merge. 그래서 한 번 더 에워준다는 거죠. Therefore it surrounds once more. 한번 더 에워주니까 內 청룡 外 백호로 두 겹이 되는 거예요. Then it's a double layer of outer blue dragon and inner white tiger. 천지인(天地人) 중에 지기(地氣)와 천기(天氣)만 받아서는 안 되고 사람이 사는 데는 인기(人氣)가 있어야 한다. Based on the theory of Heaven-Earth-Human, you need not only the energy of the earth and the heaven but also that of human in living of life. 흉한 기운은 직선으로 오고 길한 기운은 곡선으로 온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어요. The principle is that bad energies come in a straight form and good energies come in a curved form. 그래서 동선은 곡선으로 계획하는 거예요. That's why we have to make the flow of human traffic curved. 저기 건물이 앞에 있죠. 밑으로 해서 저 건물을 통해서 가는 거예요. There's a building in front of you. We go down and pass through it. 저런 식의 동선 계획, 저런 식의 진입방법을 특별히 이름을 붙였어요. 뭐라고 이름 붙였죠? That kind of transportation plan, namly that kind of entry method, was given a special name. What is it called? [답사 학생] 누하진입(樓下進入). [a student] Nuhajinip(entry under the pavilion).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그렇죠. 누하진입. [Professor Zho In-Choul] That's right. Nuhajinip. 한국 사찰 중에서, 특히 산지 사찰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동선 계획의 방법이 ‘누하진입’ 이에요. It is a common way of planning the flow of human traffic that many Korean Buddhist temples on mountains use. ‘누하진입’을 하면, 여러분도 올라가 보시면 알겠지만, You will understand it if you climb. 경관의 감성적 느낌, 사람이 경관의 절정에 올랐을 때의 감동적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It's the best way to arose moving emotion when a person reaches the peak and see the view. You will understand it if you climb. 잔뜩 좁혔다가 탁 넓혀주고 있어요. 음양으로 따지면, 좁히는 건 음(陰이)고 트여주는 것은 양(陽)이다. The road gets narrower but gets suddenly wider. In yin-yang, the yin means narrowing and the yang symbolizes broadening. 저기서 직선으로 들어오면 직선은 살(殺)이라고 했어요. If energy goes straight, it turns evil. 들어와서 기둥 쪽으로 가면서 좁혀져요. The way narrows down and go towards the pillar as you come in. 이 오르는 중에 각도가 못 느낄 정도로 좁혀지고 있어요. During climbing, the angle gets narrower unwittingly. 우리가 일주문을 올라오면서 봤던 금성체(金星體) 산이 있죠. We saw a mountain with metallic properties as we climbed through Iljumun. 그게 여기 대웅전 안에서 어떻게 보일까 이것이 중요해요. It's important to inspect what it will look like from the main temple. 양쪽에 용이 그려져 있죠. 용 봤어요? Dragons were drawn on both sides. Did you see them? 기둥과 기둥을 잇는 주두 밑에, 기둥과 기둥을 잇는 사이를 보면 용 세 마리가 그려져 있어요. Under the capital connecting pillars and between the column and the other column, there are three dragons drawn. 선암사에 가면 대웅전에 청룡과 황룡이 있어요. In Seonamsa Temple, there are a blue dragon and a yellow dragon painted in the main building of the temple. 청룡과 황룡의 관계는 음양으로도 볼 수 있고 스승과 제자의 관계로도 해석할 수 있죠.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 be interpreted as yin and yang, and as a teacher and a pupil as well. 문양형식을 보면 상당히 고식(古式)이예요. 고식이란 기둥 위에 만드는 형식들이 조선시대 때와 다르죠. Judging from the pattern style, it's very old-fashioned. The patterns on the pilla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Joseon Dynasty. 상인방(上引枋), 기둥과 기둥을 잇는 것 위에 있는 화반(華盤), 기둥을 받치는 형태가 약간 불꽃문양 비슷하게 해서 저것도 매우 고식(古式)이에요. Look at the lintel. A piece of board between one column and the other column looks flamelike, which is old-fashioned. 지금 보니까 심플하죠? 심플하면서 멋있어 보이죠. 이곳이 고려시대 건물을 볼 수 있는 몇 군데 안 되는 곳 중 하나예요. It's simple, isn't it? It looks cool as well. This is one of the few places where you can see the buildings of the Corea Dynasty. ㅁ 촬영 : 이창재, ㅁ 편집·자막 : 이은정, ㅁ 감수 : 조인철, 신정원.



촬영 : 이창재,

편집·자막 : 이은정,

감수 : 조인철, 신정원.


  • 트위터
  • 블로그
  • 유투브
주소복사
목록
이전글 닭실마을, 청암정에 가다! 2019-01-29
다음글 주촌종택(周村, 慶流亭 宗宅)을 찾아서 201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