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커뮤니티
  • 학과별게시판
  • 동영상갤러리
인쇄하기

동영상 갤러리

제목 주촌종택(周村, 慶流亭 宗宅)을 찾아서 작성일 2019-01-29 조회수 378
주촌종택(周村, 慶流亭 宗宅)을 찾아서 Visiting Kyeongryujeong, the Head House of Lee's family[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the department of Oriental Science, WDU] 우리가 조선시대의 양반 주택에 왔는데, We came to a Yangban(aristocrats and ruling class) house of the Joseon Dynasty. 양반 주택의 4대 요소가 뭐라고 했죠? What are four elements of Yangban house? 사당, 안채, 사랑채, 행랑채 이렇게 네 개의 요소가 있죠. They are Sadang(ancestral shrine), Anchae(the inner quarter), Sarangchae(the men’s quarter of outer quarter), and Haengnangchae(servants’ quarter). 뼈대 있는 양반 집안에는 불천위(不遷位) 사당이 있어요. There is Bulcheonwi(the ancestral tablet of a person with high virtues and great service to the nation which the government has authorized to be brought to the shrine forever) shrine in a distinguished family. 여기는 지금 사당이 어디 있어요?Where is the ancestral shrine now? 저 위에 모시고 있죠. It's up there. 사당은 윗대 선대(先代)의 돌아가신 분들의 위패를 모시는 곳이니까. Because the shrine is a memorial hall for the ancestral tablet of the dead. 집에서 가장 위계가 높은 곳에 적정한 자리를 잡아 성스러운 공간으로 유지하는 것이지요. It should be taken proper place at the highest level in the house and kept as a holy place. 사당은 평상시에 항상 문을 열어두지 않습니다. It is not always open. 제를 지내거나 할 때 (여는데), 사당은 혼(魂)들이 계신 곳이니까요. Only when ancestral rites are performed, it is opened because the spirits of their ancestors are kept. [경류정 종택 종손 이세준 선생님] [Lee Se-jun, the eldest grandson of the head family in Kyeongryujeong] 여기는 별당입니다. 여기서 불천위 제사를 모시죠. This is a separate house. The rites are performed for Bulcheonwi here. 신주를 가져와서 제사를 모시죠. They bring ancestral tablets and hold a memorial service. [경류정 종택 종손 이세준 선생님] [Lee Se-jun] 안동이나 어느 지역에 가더라고 종가라면 보통 평지에 있습니다. In any other area including Andong, the head houses are usually located on a flat surface. 거의 95%가 그렇죠. Almost 95 percent. 우리 집만 이렇게 높습니다. Only my head house is located in the high place. 왜 그런지, 조부께 여쭤보니 자연에 순응해야 한다는 거죠. I asked my grandfather why, and he said that we should conform to nature. 산이 있으면 산을 깎지 말고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해서 누마루를 만들고. do not cut the mountain but make a loft using the natural terrain. 또 종가를 창건할 때 가장 먼저 사당을 모시고, 사당을 미리 창건하고 In addition, when the head house was established, the shrine was built first of all. 그 다음에 차례대로 본채, 안채, 사랑채, 별당 순서로 (조성해간다고) 조부님께 들었어요. Then, I was told that the main building, Anchae, Sarangchae, and a separate house had been constructed in order. 그래서 우리 집은 산의 지형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So my head house kept a mountainous terrain intact. 지형 변경을 하지 않고. without changing it.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자연지형을 잘 이용했죠. Your ancestors were good at using natural terrain. 아주 자연스럽게 산에 깃드는 것처럼 집을 지은 거죠. Your house is located naturally, like it is in the mountains.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집을 보면 자연지형이 그대로 녹아 있죠. If you look at the house, it is in harmony with the natural landscape. 안채 부분은 높게 되어있고 점점 (기울기가) 떨어지죠. The inner quarter is high, and from it the slope is gradually falling. [경류정 종택 종손 이세준 선생님] [Lee Se-jun] 예전에 3대가 살았어요. Three generations used to live. 여기가 새댁 방이고 이쪽이 시어머니 방이고 저쪽이 시조모 방이죠. This is a daughter-in-law's room, this is a mother-in-law's, and that's a grandmother-in-law's. 자손만대(子孫萬代). 이것은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의미입니다. “Eternal Posterity”. This means that they wished to give birth to many children. 남녀유별(男女有別)의 시대에 여자들은 출입할 때 이쪽으로 바깥엘 가고 이쪽으로는 가지 못했어요. In the age of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women went out through this aisle and couldn't go this way. 사랑채에 계신 분들은 통로 저쪽으로 다니시고. Those in the Sarangchae walk over the aisle.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여러 군데 다니면서 (이런저런 집을) 보았는데, (이 집의) 특이한 점은 이 마루의 구성이에요. I've been to a lot of places and seen many kinds of houses. But what's unique (about this house) is the structure of the floor. 대체로 (다른 집의 경우에는) 마루를 뒤편까지 탁 틔게 두죠. Generally, they leave the floor flat to the back. 뒤쪽의 문을 열어 두어 안팎으로 바람이 통하도록 여기는 방을 두지 않아요. The reason why we don't have a room here is to open the back door and let the wind blow in and out. 보통 방은 여기에 만들지 않고 저쪽 면이나 이쪽 면으로 구성하는데, (이 집은) 마루를 저쪽으로 넓히고 방을 이렇게 두었어요. Usually a room was not built here but either on that side or on this side. But the floor (of this house) is expanded to that way and a room is set. 저 쪽의 문은 열고 틔운 게 상당히 독특한 구조인데, 거기에 이유가 있을 것 같아요. It's quite unique to open that door over there and create an empty place. I think there must be a reason for it. [경류정종택 종손 이세준 선생님] [Lee Se-jun] (그 이유를) 조부께 여쭤보니 정침에 기제사를 모시는데, 사당에 가깝도록 하기 위해서 이렇게 만드신 것이라고 말씀하셨어요. I asked my grandfather the reason, and he told me that his purpose was to make it easy to go toward the shrine while performing ancestral rites.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집안의 내력이나 상황에 따라 작은 변화 같지만, 이것은 아주 큰 변화에요. It's like a small change in the family history and circumstances, but it's a huge change. 경상도 지역의 가장 태두(泰斗)라 할 수 있는 퇴계 선생의 집안이에요. It's the family of Toegye, a luminary in Neo-Confucianism in the Gyeongsang region,그렇다면 성리학적 부분이 매우 엄격하게 주택에 반영되었겠죠. and if so, a system of Neo-Confucianism was very strictly reflected in the housing. 조선 시대의 주택을 볼 때, (그 당시가) 성리학의 시대이기 때문에 성리학적 교리도 이해해야 하죠. When looking at the houses of the Joseon Dynasty, we also need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Neo-Confucianism. (집의 구조에서) 성리학적 측면이 가장 크게 드러나는 것이 사당을 설치하는 것이지요. The largest manifestation of Neo-Confucianism aspect is the establishment of a shrine. (그것은) 집에 가묘가 생기게 되는 것이고, 집 안에 사당이 들어온 거죠. (As a result,) a family shrine was built inside the house. 조선 시대 때 양반 주택의 구성요소의 중요한 것 중 하나인 사당이 생긴 거죠. During the Joseon Dynasty, a shrine was crea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Yangban housing. 조선 시대 때 중요시 한 것 중 하나가 부부유별(夫婦有別)인데, 여기서 시선 차단이 매우 중요해요. One of the important th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the separation of husband and wife. Also it is crucial to block each others' eyes. 칸을 나누어서 (공간을) 만들고 (시선을) 차단한 거죠. They divided the space, and blocked the glance, 문은 안 달더라도 동선을 꺾어서 turning the flow of human traffic around without a door. 사랑채와 안채가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어 있지만 시선적 측면에서 (차단되었는데, 이런) 고려가 안 되면 그 집은 좋은 집이 아니에요. The house is not a good house unless blocking glances is considered, although the outer quarters and the inner quarters are connected organically. 그 다음 중요한 것이 부엌의 배치예요. The next important thing is the layout of the kitchen. 온돌식이니 불을 때면 (열기가) 올라가니까 부엌의 바닥은 항상 낮게 배치해요. By using Ondol(Korean floor panel heating system), the kitchen floor was always constructed lowly because the heat rose. 여기는 한 칸을 비워서 저 쪽으로 나가는 공간을 만들어 놨어요. By removing the wall, they made the kitchen connected to that path. 부엌을 이런 식으로 설치할 때는 항상 앞에 이런 식의 차단물이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When you set up the kitchen this way, you always have to consider a kind of barrier in front of it. 이런 것이 없으면 밥을 바깥쪽으로 푸면 (복이 나가기 때문에) 안 되는 거예요. Without this kind of barrier, you shouldn't scoop rice outwards because you lose your luck. 그래서 이 앞에 이런 것이 있을 경우에만 저쪽에 부엌을 허용하는 것이지요. So you can only build the kitchen over there if there's a barrier like this.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이 현판 자체는 벽사적(闢邪的) 의미가 있어요. This signboard itself has a meaning of deriving away evil spirits. 삿된 기운이 오면 이 글씨가 누르는 힘이 있어 막아내는 것이지요. The text has the power of suppressing and expelling them. [경류정 종택 종손 이세준 선생님] [Lee Se-jun] 퇴계 선생님께서 정자를 위해 문(文)을 내려주신 거예요. Toegye composed the writing on the pavilion. 저게 (퇴계 선생님의) 친필입니다. That's his own handwriting.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이 집은 대공도 판대공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Daegong(the material supporting a ridge beam over collar beam) is made of a wide board.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물길이 밑에 있는데 (거북이는) 알을 낳기 위해 산으로 올라가는 거죠. The waterway is at the bottom, and a turtle goes up the mountain to lay its eggs. 알을 낳기 위한 거북이와 여기에 음양석이 같이 있으면 음양의 조화를 이루고 If you have a yin-yang stone with a turtle to lay an egg, yin-yang is harmonized. (거북이가) 알도 품고 있으니 발복(發福)할 수 있는 조건들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지요. Besides a turtle has eggs. So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is in good condition. ㅁ 촬영 : 이창재, ㅁ 편집·자막 : 이은정, ㅁ 감수 : 조인철, 신정원



촬영 : 이창재,

편집·자막 : 이은정,

감수 : 조인철, 신정원




  • 트위터
  • 블로그
  • 유투브
주소복사
목록
이전글 봉정사 2019-01-29
다음글 서애 류성룡 선생 묘소에 가다! 2019-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