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커뮤니티
  • 학과별게시판
  • 동영상갤러리
인쇄하기

동영상 갤러리

제목 퇴계 태실, 종택과 묘소 작성일 2019-01-29 조회수 488
퇴계 태실, 종택과 묘소The placenta chamber, Head house, and Tomb of Toegye [WDU 동양학과 조인철 교수] [Professor Zho In-Choul, the Department of Oriental Science, WDU] 입구(口)자 집의 마당이 있으면 중간을 비우죠. If we have a square house yard, we empty the middle. 그런데, 이 집에는 마당 중간에 태실(胎室)이라는 작은 건물을 지어 놓은 거죠. 매우 독특한 구조죠. But this house has a small building, Taesil(placenta chamber), in the middle of the yard. It's a very unique structure. 퇴계 선생이 동방의 성현으로 이름을 떨치게 되자 나중에 후손들이 그 자리를 찾아 하나의 성스런 공간으로 꾸민 거죠. After Toegye had gotten a name as the sage of the Orient later, his descendants found his birthplace and made it a sacred place. 이곳은 퇴계 선생이 태어난 곳이니까 영남지역에서는 성지와 같은 곳이죠. Here is the place where Toegye was born, so it's like a holy plac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이곳 태실은 불천위(不遷位, 영구히 제사지내는) 사당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권위를 지니게 된 거죠. This placenta chamber was given the authority to play the role of the permanent shrine. 주변의 자연경관과 이 집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진 거죠. The house and the landscape around it are connected organically. 주변의 자연 조건은 (이 집이) 이 자리에 세워질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죠. The natural conditions explains why this house should be built here. 건축적 지식과 풍수적 지식이 같이 어우러져야 그런 답이 나오죠. We need to utilize the knowledge of architecture and feng shui together to find the answer. 여기가 육간대청이죠.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3곱하기 2해서 여섯 칸이 되지요. This is six-kan Daecheong(the main floored room). It's the hall of three square ahead and two square sides. Because three times two is equal to six. 옛날에 양반주택에서 대청이 크다고 하면 육칸대청을 최고로 보았죠. Once upon a time, it was regarded as the big and best main floored room in the Yangban's house. 퇴계 선생이 태어나신 자리예요. This is the place where Toegye was born. 원래 우리가 안채를 보면 마당이 네모났죠. The yard in the inner quarters is square originally. (입구자형 마당이 되려면) 이 부분을 없애야 해요. This part should be gotten rid of. 저 마루를 잘라 이 부분을 없애야 해요. That part of the floor should be cut off and its this part has to be removed. 이건 앞으로 튀어나와 있죠. 한쪽 마당의 중간을 밀고 나왔어요. It is sticking out forward. It advances toward the middle of the yard. 마당 중심에서 이 부분을 매우 중요시 한 거죠. This section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enter of the yard. ‘퇴계선생태실(退溪先生胎室)’이라고 적혀 있죠. 이 자리에서 태어나셨다. It says, "The placenta chamber of scholar Toegye". It means he was born here. 그 당시에 세력 있는 집안은 24방 중에서 팔괘방위를 선호했던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 influential family favored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among the 24 bearing at that time. 이 집은 ‘축좌미향(丑坐未向)’으로 잡았죠. This house was built to ‘mi hyung(south-west)’.여기 보시면 부엌으로, 안채로 들어가는 문이에요. Look here. This is the door to the kitchen and the inner quarters. 바로 통해있지 않아요. 옆으로 꺾여 있어요. The aisle isn't connected directly. It's bent to the side. 이걸 뭐라고 할까요? What is this passage called? 곡절번등법(曲折?謄法)이라 해요. It's called the law of meandering and blocking a direct glance. 여긴 문을 열어 두어도 안에서 산을 볼 수 없어요. You can't see the mountain from the inside even if you leave the door open. 산을 볼 수 없게 만든 이유는 이렇게 꺾이게 만들었기 때문이죠. The bent way causes the mountain to be put out of sight. 꺾어지게 만든 이유는, 기본적으로 생기(生氣)는 접어서 들어오고 살기(殺氣)는 직선으로 들어온다는 생각 때문이죠. This is based on the thoughts that basically liveliness comes in a curve and murderous spirits come straight in. 문을 열어 산은 보이더라도 (안채로) 살기가 들어올 가능성이 많죠. When the door is open and the mountain is seen, there's a high chance of drawing murderous spirits to the inner quarters. 안채는 예민하고 부드러운 공간이잖아요. The inner quarters are sensitive and soft spaces. 안채는 곡절번등법, 사랑채는 대문과 직접 보이게 개문견산법(開門見山法)(을 적용하죠). The curved passage was applied to the inner quarters, and the straight passage way(mountains seen in the door frame) was applied to Sarangchae so that the gate can be visible directly. 개영철(開迎輟) - 문을 열고 수레를 맞이한다. Gaeyoungchul - to open the door and welcome to the wagon. 즉, 문을 열어 손님이 오시면 환영하고 맞이한다는 뜻이죠. In other words, it means opening the door and welcoming the guests. 폐독서(閉讀書) - 문을 닫고 책을 읽는다. Peydoksoe - to read books with doors closed. (문이) 열려 있을 때는 오는 손님을 극진히 맞이하겠다. It means greeting guests with all their heart when the door is open. 그러나 문을 닫을 때는 책을 읽겠다는 거죠. But it means the will to read books when the door is closed. 선비 집의 하나의 큰 각오라고 할 수 있죠. It's a sort of grand determination in the family of scholars. [대전풍수문화연구소장 안갑수] [Chief of Daejeon feng-shui research center. An gap-soo] 당시 봉화 금씨가 이곳의 토호였는데 퇴계 선생님을 사돈으로 맞길 싫어했던 겁니다. Mr. Geum of Bonghwa clan was a landed proprietor here at that time, and he didn't want to accept Toegye as a relative by marriage. 그러나 나중에 퇴계 선생님의 인품에 감복하여 그 집안의 자손들은 다 퇴계선생님께 와서 공부했다는 일화가 있지요. However, there is an anecdote that he was impressed with Toegye's character and all of his descendants came to study with Toegye. 이 며느리조차도 재가하라고 했는데, 며느리가 퇴계 선생님을 끝까지 모셨고 그 밑에 묘를 써달라고 유언했어요. Even Toegye's daughter-in-law was told to remarry, but she served him until the end and made a will to be buried below his tomb. 이 공간도 (변화되었는데) 퇴계 선생님이 계실 때 형성되어 있던 마을이 거의 다 사라졌고 저쪽으로 일부가 옮겨졌습니다. This area was also changed, and almost all the villages formed when he was alive have disappeared, and only a part of them has been moved over there. 이 자리든 퇴계 선생님 자리든 기운을 마지막으로 응축했느냐, 그것을 여기서 보고 가야 합니다. In this tomb or the Toegye's tomb, you should observe whether the energy is condensed to the last. 저게 용이 아직도 가고 있다는 거죠. 안의 기운이 여기까지 왔다가 머물지 않고 쭉 가고 있는 거죠. That terrain represents a figure of the dragon going on. The energy inside arrives here, but it doesn't stay there and keeps going. 여기는 저기를 끊어서 여기를 평탄하게 해 주는 것이 훨씬 나아요. It could be much better to cut the ground out there and level it here (on this terrain). 퇴계 선생님이나 사계 선생님 같은 분들은 자연을 보는 것은 참 좋은데, 그것을 너무 억지로 재단하는 것은 좋지 않다는 생각이셨죠. Toegye or Sagye thought that it was very nice to see nature as it was but not good to change it artificially. 그런데, 분명한 것은 풍수 논리로는 좋지 않습니다. However, it's clear that such an idea is not right in terms of feng shui. 인간의 노력으로 해야 할 것은 해야 합니다. We have to implement what we can do with human endeavor. 여기서 청룡이 이렇게 왔고 백호는 거리적인 측면에서 좀 멀죠. A blue dragon is here, and a white tiger is a bit far from here. 이 묘도 저쪽에 가까워야 하는가? 이쪽에 가까워야 하는가? 이쪽으로 들어가야 해요. Should this tomb be placed near here or near there? It's good to be laid near here. 이 땅의 가장 중심축이 어디인지 봐야 되겠죠. We need to see where the central axis of this land is. 그럼 여기서 걸어서 거리를 재보면 분명히 (이쪽에서) 밀려나가 있어요. If you measure the distance on foot here, it is sure to be backed out. 왜 나갔을까, 이런 생각도 해 봐야죠. You have to think why. (땅에) 기복과 위이가 있어야 살아있는 용(龍)이고 그 용을 바탕으로 해서 미래가 있다. When the burial ground has ups and downs a dragon comes to life. And the future is based on it. 주변 사방이 감싸고 있는 공간이라 미래가 참 좋다. The future is great because the space is surrounded by all sides. 하버드 대학의 박사과정에서 퇴계 선생님의 심학(心學)을 그들이 연구하고 있다는데, The psychology of Toegye has been studied in a Ph. D. program at Harvard, 어떻게 사, 오백년 전에 이런 것을 생각해냈는지 그들은 이해를 못해요. and they are surprised that he came up with it 400 or 500 years ago. 이제 연구 단계입니다. They are in the research phase of it. 모스크바 대학, 하버드 대학에서. 대단하죠. at the University of Moscow and Harvard university. It's terrific. ㅁ 촬영 : 이창재, ㅁ 편집·자막 : 이은정, ㅁ 감수 : 조인철, 신정원




촬영 : 이창재,

편집·자막 : 이은정,

감수 : 조인철, 신정원



  • 트위터
  • 블로그
  • 유투브
주소복사
목록
이전글 서애 류성룡 선생 묘소에 가다! 2019-01-29
다음글 2018학년도 학위수여식 2019-03-12